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라이선스로 알맞은 것은?
① GPL ② MPL
③ BSD ④ LGPL
정답: ③ BSD
① GPL: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eneral Public License,GNU GPL 또는 GPL)의 약자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소프트웨어의 실행, 연구, 공유, 수정의 자유를 최종 사용자에게 보장한다. 대표적으로 리눅스 커널이 이용하는 사용 허가이다.
② MPL: 모질라 공용 허가서(Mozilla Public License,MPL)은 오픈소스와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다. MPL은 변형 BSD 사용허가서와 GNU 일반 공증 사용 허가서의 혼합적 성격을 띄고 있다. 배포시 의무사항으로는 원본 및 수정코드를 MPL에 의해 배포하고 배포시 MPL 라이선스 사본을 첨부해야 한다.
③ BSD: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허가서는 자유 소프트웨어 저작권의 한 가지로, BSD 계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많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한다. BSD 라이선스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라고도 할 수 없을 만큼 미약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는 아무나 개작할 수 있고 수정한 것을 제한 없이 배포할 수 있다. 다만 수정본의 재배포는 의무적인 사항이 아니므로 BSD 라이선스를 갖는 프로그램은 공개하지 않아도 되는 상용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해당 내용이 GPL과 큰 차이점인데, GPL은 파생된 소스라도 GPL과 같은 라이선스를 갖도록 의무화하지만, BSD의 경우에는 라이선스없이도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④ LGPL: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다. LGPL은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의 강한 카피레프트 조건과 BSD 사용 허가서나 MIT 라이선스의 단순한 사용 허가를 절충하여 만들어졌다. LGPL은 카피레프트에 대한 규제를 프로그램 자체에 두나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카피레프트를 두지 않는다. 그러나 후자의 프로그램에도 어느 정도의 규제가 있다. LGPL은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에 주로 쓰이며, 간혹 독립적인 프로그램에도 쓰인다.
2.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다른 종류에 속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알맞은 것은? 정답: ④ Vector Linux
① Ubuntu ② Linux Mint ③ Elementary OS ④ Vector Linux
① Ubuntu - 데비안 ② Linux Mint - 데비안 ③ Elementary OS - 데비안 ④ Vector Linux - 슬랙웨어
슬랙웨어(Slackware)
SuSE, Porteus, Vector Linux, Salix OS 등..
데비안 계열(Debian)
Konoppix, Corel, Lindows, Ubuntu, Linux Mint, Elementary OS, BackTrack, Kali Linux
레드헷 계열(Red Hat)
RHEL, CentOS, Fedora, Oracle Linux, Scentific Linux, Asianux, Mandriva Linux, Mandrake
https://starrykss.tistory.com/1089
리눅스 배포판의 분류
리눅스 배포판의 분류 (1) SLS :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 - 1992년 5월에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인 SLS 등장 - SLS는 리눅스 커널과 다양한 GNU 프로그램, 기본적인 유틸리티와 X 윈도 시스템까지 탑재하여
starrykss.tistory.com
3. 다음 중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틀린 것은? 정답: ③ QNX
① Tizen ② webOS ③ QNX ④ GENIVI
① Tizen: 리눅스 계열의 서버 운영 체제로 리눅스 재단, 리모 재단, 삼성전자, 인텔이 공동으로 개발한 모바일 및 IT기기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다.
② webOS: webOS 또는 LG webOS라고 불리며, 리눅스 커널에서 구동되는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③ QNX: 유닉스 계열의 서버 운영 체제로, 현재는 GUI도 지원하고 있으며 CD 부팅판과 플로피 디스켓 버전을 내놓고 있다.
④ GENIVI: 자동차 소프트웨어 에코 시스템에 리눅스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접근 방식을 도입한 방식으로, OEM과 공급 업체에게 새롭고보다 효율적인 자동차 소프트웨어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4. 다음그림에 해당하는클러스터링기법으로 알맞은것은?
① 고계산용 클러스터
② 부하분산 클러스터
③ 고가용성 클러스터
④ 베어울프 클러스터
정답: ③ 고가용성 클러스터
5. 다음 중 유닉스(UNIX)를 개발한 인물로 알맞은 것은? 정답: ② 켄 톰슨
① 리누스 토발즈 ② 켄 톰슨 ③ 빌 조이 ④ 리처드 스톨먼
① 리누스 토발즈: 리눅스 커널과 깃을 최초로 개발
② 켄 톰슨: 유닉스 개발
③ 빌 조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공동 창립자(BSD 유닉스 개발의 핵심역할, vi 편집기의 개발자)
④ 리처드 스톨먼: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중심 인물로, GNU 프로젝트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설립자
6. 다음은 grub.conf 파일의 일부이다. 관련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답: ④
① 1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첫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② 10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첫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③ 1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두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④ 100초 동안 대기한 후에 메뉴 선택이 없으면 두 번째 항목의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default의 값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default=1이면 두 번째를 뜻한다.
timeout=100이란 100초동안 대기한다는 뜻이다.
grub.conf grub 관련 파일은 아래와 같다. /bin/grub-install #GRUB 설치 바이너리파일 /boot/grub/grub.conf #GRUB 설정파일 /sbin/grub #GRUB 명령어 쉘 이중에서 /boot/grub/grub.conf 에 대해서 알아보자. default=0 timeout=5 splashimage=(hd0,0)/grub/splash.xpm.gz hiddenmenu title SULinux Server (2.6.18-92.el5PAE) root (hd0,0) kernel /vmlinuz-2.6.18-92.el5PAE ro root=LABEL=/ vga=771 initrd /initrd-2.6.18-92.el5PAE.img title SULinux Server-base (2.6.18-92.el5) root (hd0,0) kernel /vmlinuz-2.6.18-92.el5 ro root=LABEL=/ vga=771 initrd /initrd-2.6.18-92.el5.img 위 내용은 SULinux 2.0 TUI 가 설치된 한 서버의 /boot/grub/grub.conf 파일 내용이다. 위 글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default=0 초기 grub 화면에서 아무런 선택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 어느 쪽으로 부팅을 할 것인지 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0 이 SULinux Server (2.6.18-92.el5PAE) 이고 1이 SULinux Server-base (2.6.18-92.el5) 이다. timeout=5 초기 grub 화면에서 default를 자동으로 적용시키기 전에 바꿀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초 단위로 적을 수 있으며 보다시피 5초를 기다릴 수 있게 되어있다. splashimage=(hd0,0)/grub/splash.xpm.gz splashimage는 grub화면에서 메뉴와 함께 보여지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hd0,0)/grub/splash.xpm.gz 란? 앞에 기재되어 있는 (hd0,0) 은 hd0 즉 0번디스크를 의미한다. 그리고 뒤의 0은 0번 파티션, 리눅스는 0번부터 시작한다. 0번디스크의 0번파티션은 무엇일까? 우리는 리눅스를 설치하며 진행한 파티션 설정에서 무엇을 가장 먼저 잡는가? 십중팔구는 /boot 를 먼저 잡을 것이다. (hd0,0) 은 바로 /boot 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hd0,0)/grub/splash.xpm.gz 란 /boot/grub/splash.xpm.gz 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hiddenmenu 위 설정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grub 부트로더를 보여주지 않는다. 부팅시 grub 화면에서 대기시간만 나오고 따로 다른화면들은 나오지 않는다. 설정을 하려면 아무키나 누르라고 한다. 그 화면을 출력시키는게 이 설정인 것이다. timeout 설정과 동시에 사용되어야 한다. title SULinux Server (2.6.18-92.el5PAE) root (hd0,0) kernel /vmlinuz-2.6.18-92.el5PAE ro root=LABEL=/ vga=771 initrd /initrd-2.6.18-92.el5PAE.img title SULinux Server-base (2.6.18-92.el5) root (hd0,0) kernel /vmlinuz-2.6.18-92.el5 ro root=LABEL=/ vga=771 initrd /initrd-2.6.18-92.el5.img 이 것은 같은 설정이 2번 반복된 것이므로 한번만 설명한다. title SULinux Server (2.6.18-92.el5PAE) grub 화면에서 이미지와 함께 보이는 메뉴이다. OS 를 선택시에 출력되는 글을 지정하는 것이다. root (hd0,0) 부트 이미지가 어디에 존재하는지 에 대한 설정이다. GRUB가 리눅스로 부팅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들을 읽어들이기 위해 /로 인식할 파티션을 의미하며 앞서 말한바와 같이 (hd0,0) 은 /boot 라고 보면 된다. 0번디스크의 0번 파티션. kernel /vmlinuz-2.6.18-92.el5PAE ro root=LABEL=/ vga=771 커널 이미지가 저장된 위치(/boot 파티션에서 확인가능)와 최상위 루트파티션(/)의 디바이스명을 등록한다. vga 는 해상도를 의미한다. initrd /initrd-2.6.18-92.el5PAE.img /boot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initrd 파일을 지정하는 것이다.</span>
'Study > 리눅스마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리눅스마스터 시험일정 및 유의사항 (0) | 2021.07.01 |
---|---|
[리눅스마스터] 필기 기출문제 2018~2020 (0) | 2021.07.01 |